오늘은 엔진오일 교환주기 및 교환방법, 비용, 그리고 광유와 합성유의 차이점 등 엔진오일에 대한 모든 사항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어떤 분은 5,000km마다 교체를 하라고 하고, 자동차 메뉴얼로는 1~2만km마다 교환하라고도 하는데요.
오늘 그 정확한 기준을 잡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엔진오일 교환주기 뭐가 맞을까?
1) 메뉴얼을 따른다
엔진오일 교환주기는 어디를 가든 논란도 많고 떡밥도 많은 주제인데요. 일단 지침으로 삼아야 할것은 자동차의 메뉴얼입니다.
예를 들어 BMW의 경우에는 3만km마다 엔진오일을 교체하라고 나와있습니다.
그게 맞어? 란 생각에 1만km쯤 센터에서 교체를 하러 왔더니 아직 시기가 안됐다고 돌아가라고 하더군요. 하하하!
2) 정비사 의견은?
차량 메뉴얼에 명시된 교환주기는 안정된 상황하에서 안정되게 주행했을때를 기준으로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대한민국은 안정된 환경이 아닌 ‘가혹조건’에 해당합니다.
- 짧은 거리를 반복해서 주행 (정체가 심한 한국의 도시에 해당)
- 산길, 오르내리막길 등의 주행빈도가 높은 경우 ( 산악지형의 고저가 많은 한국에 해당)
- 32도 이상의 온도에서 교통체증이 심한 곳을 50% 이상 주행했을때(여름철에 해당)
- 고속주행 170km의 빈도가 높은 경우
- 잦은 정지와 출발을 반복적으로 주행갈 경우 (출퇴근 교통정체)
- 한랭지역을 운행할 경우 (겨울철)
- 모래, 먼지가 많은 지역 ( 한국 미세먼지 심합니다)
- 공회전을 과다하게 계속 시켰을때
- 경찰차, 택시, 사용차, 견인차 등으로 사용하는 경우
- 험한길 주행빈도가 높은 경우
현대차에서 제시하는 가혹 조건을 살펴보면 보수적으로 잡아도 5~6가지는 해당한다고 보여집니다. 때문에 실제로 현장에서 엔진오일을 점검하고 교체하는 정비사분들은 1만km 이전, 7~8천km 마다 교환을 권장하는 편입니다.
3) 종합
엔진오일은 오일 자체도 비싸지 않고, 공임비용도 얼마 안하기 때문입니다. 때문에 차량관리 차원에서 메뉴얼상 교환주기의 70~80% 사이로 점검을 해주고, 교환이 필요하다면 교환을 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그랜저 GN7 3.5 가솔린 : 1.5만km 또는 12개월
- 가혹조건시 : 7,500만km 또는 6개월
현대차 그랜저의 경우 트림다다 다르겠지만 주로 1.5만km 12개월 마다 교환을 하라고 나와있습니다. 하지만 가혹조건시에는 교환주기가 확 짧아지죠.
때문에 국산차 운행중이라면 편하게 7~8천km 주행을 했다면 일단 점검을 한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2. 엔진오일 교환주기 : 교환비용은?
1) 교환비용

엔진오일 가격은 차종마다 다른데요. 저는 20,700원을 주고 구입해서 공임나라 가서 교체했습니다. 그리고 에어클리너, 오일필터도 함께 교체했습니다.
- K엔진오일 : 20,700원
- 공임비 + 에어클리너 + 오일필터 : 30,900원
- 총 교체비용 : 51,600원
이중 에어클리너는 필수로 교체해야 하는 품목은 아니기 때문에 에어클리너 부품비용을 제외하면 더 저렴합니다.
2) 함께 교환해야 하는 품목
엔진오일 교체시 딱 엔진오일만 교체할수 있지만, 함께 교체해줘야 하는 품목이 있습니다.
- 오일필터 : 엔진오일 교체시 무조건교체
- 에어클리너 : 2~3만km 마다 교체
오일필터는 엔진오일 교체시마다 교체를 해줘야 하는 품목입니다. 엔진오일만 들고가도 필터는 알아서 교체를 해줍니다. 물론 비용이 발생하는데 저렴합니다.
에어클리너는 공기필터 라고 보시면 됩니다. 에어클리너가 오염되었다면 미세먼지 등의 오염물질이 침투하고, 먼지 섞이 오일이 엔진 내부를 돌게 됩니다.

이는 마치 미세한 사포로 엔진을 긁는 것과 마찬가지기 때문에 오염시 교체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2~3만km마다 교체를 하면 되는데, 어차피 비용도 얼마 안하니까 그냥 엔진오일 교체시 교체도 무방합니다.
3. 엔진오일 교환주기 : 광유 합성유 차이점은?
- 광유 : 원유에서 정제된 광유를 기유로 사용한 오일
- 합성유 : 화학적인 합성을 통해 만들어진 오일
둘중 어느곳이 더 좋냐면 합성유가 더 좋습니다. 하지만 광유를 사용해도 별 문제는 없습니다.
1) 광유
- 원유에서 정제된 광유를 기유로 사용한 오일
- 합성오일에 비해 저렴하며 질이 다소 떨어지긴 하지만 큰 문제는 아님
- 제조사가 지정한 주행거리의 70~80%에 교환 권장 (1만km시 교체면 7~8천km)
- 합성유보다 고온에 약해 고출력차에는 부적합한 편 (고급차일수록 합성유 권장됨)
2) 합성유
- 화학적인 합성을 통해 만들어진 오일
- 광유대비 고온에서 안정적이므로, 출력이 높은 차가 사용
- 점도 유지력 따라 등급이 있음.
- 광유보다 교체 빈도가 덜하지만 2만km 이상 사용하는 것은 금물
- 2만km 마다 에어클리너 청소 필수
차를 좀더 소중히 오래 타고 싶다면 합성유로 관리를 해주는게 좋습니다. 어차피 가격차이도 크지 않고요. 하지만 광유를 사용한다고 해서 문제될 것은 없습니다.
4. 엔진오일 교환주기 : 결론
엔진오일은 자동차 엔진의 원활한 작동과 수명 연장을 위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 중요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 엔진 부품 보호 엔진오일은 피스톤, 실린더, 밸브 등 엔진 내부 움직이는 부품 사이의 마찰을 줄여줍니다. 이를 통해 부품 손상과 마모를 최소화하여 엔진 수명을 연장시킵니다.
- 엔진 냉각 엔진 연소 과정에서 발생하는 고열을 흡수하고 방출하여 엔진이 적절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합니다. 과열 방지로 엔진 손상을 예방합니다.
- 엔진 밀봉 피스톤 링과 실린더 사이의 미세한 공간을 메워 압축 압력 손실을 최소화하여 출력과 연비 향상에 기여합니다.
- 청정 유지 불순물과 엔진 마모 입자를 제거하여 엔진 내부를 청결하게 유지시켜 주며, 부식과 마모를 방지합니다.
- 원활한 작동 적절한 점도로 엔진 부품 사이의 원활한 작동을 돕습니다.
이와 같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교환비용도 얼마 하지 않습니다. 즉, 엔진오일은 차량관리 중 가성비가 가장 좋다고 할수 있습니다. 그러니 교환주기를 철저히 지켜 관리해주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